실업급여 계산기 완전 정복!
– 나도 받을 수 있을까? 월급으로 따져보자!
💬 “내가 받게 될 금액, 정확히 얼마나 될까?”
막상 실직하고 나면, 가장 먼저 궁금한 게 실업급여 수령액이죠.
직접 계산해 볼 수 있는 방법, 지금부터 하나씩 알려드릴게요!
💻 실업급여 계산기란?
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공식 모의계산 도구예요.
최근 3개월 월급만 알면, 하루 수령액부터 총지급액까지
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요.
🧾 준비물
- 최근 3개월 월급 (세전 기준)
- 본인 나이
- 고용보험 가입기간
📌 3개월치 월급은 ‘급여명세서’나 ‘통장 내역’ 참고!
📍 실업급여 계산기 접속 방법
✅ STEP 1
📱 또는 💻 [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]
👉 https://www.ei.go.kr
✅ STEP 2
상단 메뉴에서
[개인서비스] → [실업급여] → [모의계산기] 클릭!
💡 또는 검색창에 "실업급여 계산기" 검색 후 바로가기 이용
🧮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법
🟢 예시로 함께 해볼게요!
- 최근 3개월 월급: 260만 원, 250만 원, 240만 원
- 고용보험 가입 기간: 2년
- 나이: 35세
✅ STEP 3 – 평균임금 계산
최근 3개월 평균 월급 = (260 + 250 + 240) / 3 = 250만 원
평균임금 = 250만 원 ÷ 30일 = 83,333원
✅ STEP 4 – 실업급여 일일 지급액 계산
일일 지급액 = 평균임금 × 60%
= 83,333 × 0.6 = 약 50,000원
단, 2025년 기준 1일 지급 하한액은 73,100원, 상한액은 약 79,000원
위 계산이 하한액보다 낮기 때문에, 실제로는 73,100원으로 지급됨!
✅ STEP 5 – 총 지급일수 확인
고용보험 가입기간 2년 → 최대 150일 지급
총 수령액 = 73,100원 × 150일 = 약 1,096,5000원 (1,096만 원)
📌 요약: 실업급여 계산 공식
구분 | 계산법 | 예시 |
평균임금 | 최근 3개월 월급 / 90일 | 250만원 / 30일 = 83,333원 |
일일 지급액 | 평균임금 × 60% (하한·상한 적용) | 83,333원 × 0.6 = 50,000원 → 하한액 73,100원 적용 |
총 지급액 | 일일 지급액 × 지급일수 | 73,100원 × 150일 = 1,096,5000원 |
❗ 실업급여 계산 시 주의할 점
- 지급액은 세금 차감 전 금액입니다
- 총 지급일수는 나이,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져요
- 정확한 금액은 고용센터 확정 심사 후 통보됨
🌿 마무리하며
실직은 당황스럽지만,
이렇게 수령 금액을 정확히 파악하고 나면
마음이 한결 놓이기도 해요.
"내가 받을 수 있는 권리, 당당하게 챙기세요."
당신의 재도약을 응원합니다. 🌱
🔗 다음 편 예고
👉 [3편] “자발적 퇴사도 실업급여받을 수 있을까?”
많이들 헷갈려하는 자발적 퇴사 사유, 실제 인정 사례와 함께 정리해 드릴게요.
'사회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✅ [실업급여 A to Z 시리즈 – 4편] (0) | 2025.04.13 |
---|---|
✅ [실업급여 A to Z 시리즈 – 6편] (0) | 2025.04.13 |
🧾 2025년 실업급여 완벽 정리! (0) | 2025.04.13 |
시작은 마음, 완성은 실천” (0) | 2025.04.13 |
장애인활동지원사, 정확히 뭘 하는 걸까요? 🌟 (0) | 2025.04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