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나는 실업급여 얼마 받을 수 있을까?”
2025년 기준 계산법부터 예시까지 완전 정리!
💬 “실업급여받는다고는 하는데, 도대체 얼마 받는 거야?”
→ 단순한 공식과 예시만 알면 금방 이해돼요!
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실업급여 계산 방법을
아주 쉽게 풀어드릴게요.
📍 실업급여 계산, 핵심 공식은?
여기서 말하는 ‘평균임금’은 최근 3개월간 월급(세전)을 기준으로 해요.
📌 2025년 기준 지급 한도
구분 | 금액(1일 기준) |
최저 지급액 | 77,120원 (최저임금 기준) |
최고 지급액 | 77,000원 |
💡 평균임금이 아무리 낮아도 1일 77,120원은 보장되고,
아무리 높아도 77,000원까지만 받을 수 있어요.
🔢 실전 예시로 계산해보기
✅ 예시 ① – 월급 250만 원인 경우
- 평균임금 = 250만 원 ÷ 30일 = 약 83,333원
- 1일 실업급여 = 83,333원 × 60% = 약 50,000원
- 하루 50,000원 × 120일 = 총 600만 원 수급
📌 지급 기간은 나이 &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다름 (아래 설명 참고!)
✅ 예시 ② – 월급 150만 원인 경우
- 평균임금 = 150만 원 ÷ 30일 = 약 50,000원
- 1일 실업급여 = 50,000원 × 60% = 30,000원
- ✅ 하지만! 최저 보장 기준으로 77,120원 지급
💡 즉, 월급이 적어도 최소 77,120원은 받을 수 있어요.
🗓️ 실업급여 수급 가능 기간
고용보험 가입 기간 | 50세 미만 | 50세 이상 or 장애인 |
180일 이상 ~ 1년 미만 | 120일 | 120일 |
1년 이상 ~ 3년 미만 | 150일 | 180일 |
3년 이상 ~ 5년 미만 | 180일 | 210일 |
5년 이상 | 210일 | 270일 |
※ 기준일은 퇴사일 기준
✨ 실업급여 계산기 이용법
👉 고용보험 홈페이지
→ “모의 계산기”에서
→ 월급 입력 + 나이 + 고용보험 가입기간 선택하면
👉 예상 수급액 & 수급기간 자동 계산 가능!
🧾 정리: 실업급여 계산 한눈에 보기
평균임금 | 최근 3개월 급여 총액 ÷ 총 근무일수 |
일일 지급액 | 평균임금 × 60% (단, 상한/하한 있음) |
지급 기간 | 고용보험 가입기간 & 연령에 따라 다름 |
지급 방식 | 4주마다 실업인정 받고 입금 |
🙋 자주 묻는 질문 (Q&A)
Q. 월급 400만 원 넘으면 얼마나 받을 수 있어요?
👉 상한선이 있어 1일 77,000원까지만 받을 수 있어요.
Q. 급여가 적은데 실업급여도 적게 나오나요?
👉 그렇지 않아요! 최소 1일 77,120원 보장돼요.
Q. 세후 월급 기준인가요?
👉 세전 금액 기준입니다!
🌿 마무리하며
실업급여는 단순히 ‘몇 달 동안 돈을 받는 것’이 아니라
당신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경제적 쿠션이에요.
계산 방법을 알고 있으면
불안도 줄어들고, 준비도 더 체계적으로 할 수 있어요.
당신의 다음 시작을 응원합니다! 🙌
🔗 다음 편 예고
👉 [6편] “실업인정일이 뭐예요? 구직활동 인정받는 법 완전정복!”
'사회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✅ [실업급여 A to Z 시리즈 – 마지막 편] (1) | 2025.04.13 |
---|---|
✅ [실업급여 A to Z 시리즈 – 3편] (1) | 2025.04.13 |
✅ [실업급여 A to Z 시리즈 – 4편] (0) | 2025.04.13 |
✅ [실업급여 A to Z 시리즈 – 6편] (0) | 2025.04.13 |
✅ [실업급여 A to Z 시리즈 – 2편] (0) | 2025.04.13 |